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acific Championship Series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최근에 진행된 시즌에 대한 내용은 2023 PCS Summer Split 문서
2023 PCS Summer Split번 문단을
2023 PCS Summer Split#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메이저 리그
파일:LCK 로고.svg파일:LCS_text.png파일:LEC.png파일:LPL_2020.png
대한민국
LCK
북미
LCS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LEC
중국
LPL

마이너 리그
파일:CBLOL_2021.png파일:LLA 2020.png파일:PCS Square.png파일:VCS_2023_icon.png
브라질
CBLOL
라틴 아메리카
LLA
태평양 연안
PCS
베트남
VCS

합병된 지역 리그편입된 지역 리그
파일:LCO로고.png파일:LJL_2020_logo.png파일:80px-TCL_2023_lightmode.png
오세아니아
LCO
일본
LJL
튀르키예
TCL
||




파일:PCS_logo_full.png
Pacific Championship Series
퍼시픽 챔피언십 시리즈
지역
파일:대만 국기.svg

|
파일:홍콩 국기.svg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ASEAN 깃발.svg 동남아시아 | 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 오세아니아[1]
운영 주체라이엇 게임즈
컬러
약칭PCS
스폰서중화항공 中華電信
경기장
파일:대만 국기.svg

Carry Studio[2]
최근 우승팀PSG Talon (2023 Summer)
최다 우승팀PSG Talon (6회)
최다 우승자Hanabi, Kaiwing, Unified (4회)
하위 대회Pacific Challengers League
파일:트위치 아이콘.svg영어 파일:트위치 아이콘.svg표준중국어 파일:트위치 아이콘.svg광동어 파일:트위치 아이콘.svg태국어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참가팀
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
3.3. 역대 우승자
3.4. 역대 정규시즌 MVP
3.5. 역대 PCS All-Pro Team
3.6. 역대 MSI 진출 PCS 팀
3.7. 역대 Worlds 진출 PCS 팀
3.8. 역대 All-Star 출전 PCS 선수
3.9. 역대 SKE 출전 PCS 선수
4. 특징
5. 역사
6. 여담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0 시즌부터 진행하는 League of Legends Master SeriesLeague of Legends SEA Tour의 통합 리그.

통합 이전 대만/홍콩/마카오 리그의 정보를 보려면 LMS. 동남아시아 리그의 정보를 보려면 LST를 참조 바람.


2. 참가팀[편집]


||



2.1. 참가팀 로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acific Championship Series/참가팀 로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대 기록[편집]




3.1. 역대 대회[편집]


||
[ 펼치기 · 접기 ]

파일:PCS_logo_full.png2020
Spring | Summer
2021
Spring | Summer
2022
Spring | Summer
2023
Spring | Summer
2024
Spring | Summer
2025
Spring | Summer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편집]


파일:PCS_white.png Pacific Championship Series (2020~)
역대 대회우승준우승3위4위
2020 스프링Talon EsportsMachi E-Sportsahq e-Sports ClubHong Kong Attitude
2020 서머Machi E-SportsPSG TalonTaipei J Teamahq e-Sports Club
2021 스프링PSG TalonBeyond GamingMachi E-SportsTaipei J Team
2021 서머PSG TalonBeyond GamingTaipei J TeamMachi E-Sports
2022 스프링PSG TalonCTBC Flying OysterTaipei J TeamDeep Cross Gaming
2022 서머CTBC Flying OysterMega Bank
Beyond Gaming
PSG TalonDeep Cross Gaming
2023 스프링PSG TalonFrank EsportsCTBC Flying OysterImpunity Esports
2023 서머PSG TalonCTBC Flying OysterBeyond GamingFrank Esports

종합
진출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PSG Talon 아이콘 2022.svg[[파일:PSG Talon 아이콘 2022 화이트.svg7회6회1회2020 스프링,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0 서머
파일:Machi E-Sports.png2회1회1회2020 서머2020 스프링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3회1회2회2022 서머2022 스프링, 2023 서머
파일:Beyond_Gamingsymbol_square.png[[파일:Beyond_Gamingsymbol_square_white.png3회-3회-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서머
파일:Frank_Esports_halflogo.png1회-1회-2023 스프링

파일:PCS_white.png Pacific Championship Series 시즌 별 순위
순위20202021202220232024
SpringSummerSpringSummerSpringSummerSpringSummerSpringSummer
1TLNMCXPSGCFOPSG
2MCXPSGBYGCFOBYGFAKCFO
3AHQJTMCXJTPSGCFOBYG
4HKAAHQJTMCXDCGIMPFAK
5BJDNOVBJDBMEBYGJTBYGJT
6ALFBJDHKAFAKDCG
7NOVALFBMEBJDMFTTBCHF
8JTHKAIMPLYBIMPCHFTB
9LYBALFIMPHGS9JTWP
10RSGLYBALFS9DWTHPS
11LCO 참가 이전DWTIMP
12S9WDWT
LCO 슬롯



3.3. 역대 우승자[편집]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우승 선수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선수
LMSLST의 재합병으로 PCS 출범.
2020 시즌스프링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Hanabi · River · Candy · Unified · WeiLun · Kaiwing
서머파일:Machi E-Sports no text.pngPK · Likai · Gemini · Mission · JimieN · Bruce · Atlen · Koala
2021 시즌스프링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Hanabi · Kartis · River · Maple · Unified · Kaiwing
서머
2022 시즌스프링Hanabi · Azhi · Juhan · Bay · Unified · Kaiwing
서머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Rest · Gemini · Mission · Atlen · Shunn · Koala
2023 시즌스프링파일:PSG Talon 로고 2022.svg[[파일:PSG Talon 로고 2022 화이트.svgAzhi · Husha · JunJia · ubao · HongSuo · Wako · Woody
서머Azhi · Husha · JunJia · Maple · HongSuo · Wako · Woody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우승 스태프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코치진
LMSLST의 재합병으로 PCS 출범.
2020 시즌스프링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Bigfafa · Saroo
서머파일:Machi E-Sports no text.pngMountain · Gengar · Leo · Dreamer · Dee · SoCool
2021 시즌스프링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Helper · Winged · Yuwan
서머
2022 시즌스프링CorGi · Tom · Maru · Yuwan
서머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KMT · Achie
2023 시즌스프링파일:PSG Talon 로고 2022.svg[[파일:PSG Talon 로고 2022 화이트.svgCorGi · Zero · Maru
서머




3.4. 역대 정규시즌 MVP[편집]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정규시즌 MVP
||
[ 펼치기 · 접기 ]

2020 Spring2020 Summer202120222023 Spring
Mission
천샤오셴

MCX | MID
Rest
쉬스제

JT | TOP
Unified
웡춘킷

PSG | BOT
Gori
김태우

PSG | MID
Solokill
막푸컹
FAK | TOP
2023 Summer2024 Spring2024 Summer2025 Spring2025 Summer
Minji
루포웨이

JT | MID
2021년과 2022년에는 연간 통합 MVP를 선정했다.






3.5. 역대 PCS All-Pro Team[편집]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1st All-Pro Team
||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2nd All-Pro Team
||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3rd All-Pro Team
||
[ 펼치기 · 접기 ]

시즌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2022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ebp Leaky파일:Beyond_Gaminglogo.png Husha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ebp Nestea파일:Frank_Esports_simplelogo.png MnM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Koala
2021년과 2022년에는 연간 통합 올프로를 선정했다.






3.6. 역대 MSI 진출 PCS 팀[편집]


팀명진출 횟수진출 연도성적
PSG Talon3회2021
2022
2023
4강(2021)
럼블 스테이지(2022)
플레이-인 최종 진출전(2023)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역대 Mid-Season Invitational PCS 출전 팀 & 최종 성적
시즌출전 팀세트 승패최종 성적
2021PSG Talon11-94강
2022PSG Talon6-10럼블 스테이지
2023PSG Talon4-5플레이-인 최종 진출전

3.7. 역대 Worlds 진출 PCS 팀[편집]


팀명진출 횟수진출 연도성적
PSG Talon3회2020
2021
2023
그룹 스테이지(2020, 2021)
플레이-인 최종 진출전(2023)
Beyond Gaming2회2021
2022
플레이-인 녹아웃(2021)
플레이-인 그룹(2022)
CTBC Flying Oyster2회2022
2023
그룹 스테이지(2022)
플레이-인 최종전(2023)
Machi E-Sports1회2020그룹 스테이지(2020)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PCS 출전 팀 & 최종 성적
시즌출전 팀세트 승패최종 성적
2020Machi E-Sports1-5그룹 스테이지
PSG Talon6-5그룹 스테이지
2021PSG Talon3-3그룹 스테이지
Beyond Gaming5-8플레이-인 녹아웃
2022CTBC Flying Oyster1-5그룹 스테이지
Mega Bank Beyond Gaming2-3플레이-인 그룹
2023PSG Talon6-3플레이-인 최종 진출전
CTBC Flying Oyster3-4플레이-인 최종전

3.8. 역대 All-Star 출전 PCS 선수[편집]


파일:LOL All Stars_logo.png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PCS 출전 선수
시즌출전 선수비고
2020쑤자샹
파일:대만 국기.svg Hanabi
샤오런쭤
파일:대만 국기.svg Kongyue
천창쥐
파일:대만 국기.svg Uniboy
웡춘킷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Unified
링카이윙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Kaiwing
PSGAHQPSG

3.9. 역대 SKE 출전 PCS 선수[편집]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svg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PCS 출전 선수
시즌출전 선수
2023Team Nash 랴오리카이
파일:대만 국기.svg Likai
황추쉬안
파일:대만 국기.svg Gemini
천창쥐
파일:대만 국기.svg ubao
저우웨이양
파일:대만 국기.svg Wako
량언숴
파일:대만 국기.svg Enso
BYGCFOPSGJT
Team Zod쉬스제
파일:대만 국기.svg Rest
샤오런쭤
파일:대만 국기.svg Kongyue
루포웨이
파일:대만 국기.svg Minji
차오잉쉰
파일:대만 국기.svg Shunn
주우신중
파일:대만 국기.svg Kino
CFOBYGJTCFOBYG

4. 특징[편집]


리그의 운영은 LMS 주도가 아니라 LST를 주도했던 라이엇 동남아에서 가져갔는데, LMS 마지막 시절인 2019년에 LMS를 터뜨린데 결정적인 방아쇠였던 승부조작 사태 관리 미숙에 이어, 대놓고 주관사 직원이 사설 도박사이트에서 베팅을 한 것이 드러나면서 여론과 라이엇 본사의 신뢰도를 완전히 잃었기 때문. 결과적으로 이러한 통합은 동남아의 LST가 질적, 양적으로 수준높은 LMS를 태평양이라는 명목으로 흡수합병하는 형태가 되었다.

어쨌든 이 여파로 LMS의 패왕이나 다름없었던 Flash Wolves가 불참한다는 사실을 알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3] 우승 기록도 있는 리그가 플레이-인 리그 중에서도 중하위권으로 떨어지는 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이 외에도 G-Rex, MAD 등 롤드컵에도 출전한 이력이 있는 명문팀들이 뒤따라 줄줄이 해체하며 암운이 드리웠다.

그러나 실추된 LMS의 위상을 혁신하기 위해 새로운 팀들도 등장했는데, 초창기 1년 차에 한국의 오버워치팀으로도 주가를 높인 Talon이 신생팀을 창단해 그대로 FW, G-Rex, HKA 등 기존 명문팀에서 인원들을 흡수해서 슈퍼팀을 만들며 부상했고, 롤 프로씬에서 철수한 것으로 보였던[4] Machi Esports가 복귀하여 이들이 2강 체제를 구축, 새로운 돌풍이 일어났다. 이들 뿐만 아니라 LMS에서 살아남은 J Team, HKA, ahq 등 홍콩, 대만팀들이 체급이 낮은 LST 팀들을 압살해버리고 상위권을 형성하여 LMS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 혁신을 처음으로 시험하는 무대였던 2020 롤드컵에서 PSG Talon이 갖은 악재 속에서 맹활약하며 LPL의 4시드 LGD에게 업셋을 거두고, 플레이인 스테이지의 상위권 UoL마저 꺾어버리고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이며 어느 정도 개혁이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하필 담원, 징동, 로그와 같은 죽음의 조에 들어갔고 1주차에 전패하며 한계를 보여줬으나, 2주차에 징동과 로그를 연달아 잡고 조별리그 최하위를 탈출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2021 시즌 들어 멤버를 교체한 PSG Talon이 2021 Mid-Season Invitational에서 RNG, MAD, C9 등 메이저 지역의 내로라하는 강팀들을 연달아 때려 잡으면서 PCS의 위상을 끌어올리고 있다.

대부분의 리그가 승강전을 폐지했지만, 이곳은 승강전이 계속 있다. 서머 9, 10위가 승강전으로 떨어지고, 필리핀과 남아시아 리그[5]에서 선발전을 통해 각 리그 1위가 9, 10위와 맞붙는다. 그렇지만 2021 시즌이 끝난 뒤 여러 팀이 시드권을 포기하는 일이 일어나서 승강전은 열리지 않았다.

플레이오프 제도가 독특한데, 스프링과 서머 모두 상위 8개 팀이 진출한다. 진행 방식은 LCS 서머 플레이오프와 동일하게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2021시즌까지는 1라운드만 3전 2선승제이며,[6] 이후 라운드는 모두 5전 3선승제이다. 2020 서머 시즌부터 승자조 결승, 패자조 결승, 그리고 최종 결승전을 3일 연속으로 진행하게 되는 지옥의 일정이 편성되었다. 이래서 승자조 결승에서 패배한 팀이 결승전에 진출하면 3일 연속 경기를 해야 하며, 최대 15세트를 하게 될 수도 있게 된다... 먼저 승자조 결승에 진출한 두 팀 중 지는 팀은 빡빡한 일정이다. 그런데 기묘하게도 준결승 승자전에서 패배한 팀이 모두 결승전에 올라갔다.[7] 즉, 준결승 승자전 매치업이 결승전과 똑같다는 것. 또한 각 해 스프링과 서머 시즌 결승전 매치업이 동일했다.[8] 2022시즌부터는 플레이오프 모든 경기가 5전 3선승제로 변경되었고, 준결승 승자전에서 패배한 팀을 배려하여 일정을 승자조 결승-3라운드(패자조 준결승)-패자조 결승-최종 결승전 순서로 변경했다.

상대 전적에 상관없이 승패가 같으면 재경기를 한다. 3팀 이상이 승패가 같을 경우, 그때 상대 전적을 따져서 우위에 있는 팀이 상위 라운드에서 대기한다.

PCS 지역은 VCS와 함께 롤드컵 참가권 2장을 가지는 지역인데, 이는 LMS와 SEA Tour가 각각 3장과 1장의 시드를 가지고 있던 것을 절충한 것으로 추측된다.

승강제의 존재와 해체와 창단이 이루어지는 팀이 많다 보니 팀 간 전력차가 큰 편에 속하고, 그 때문에 국제전에서의 성적과 리그의 수준이 곧이곧대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MSI 성적 대비 실질적 체급이 드러나는 월즈의 성적은 영 좋지 않고 리그가 좀 불안정한 편이다. 어쨌건 2019년 최악의 암흑기와 비교하면, 의외로 LMS 이후 4대 리그 다음가는 리그의 수준을 회복/유지하기는 했다.

어쨌든 대만 홍콩 지역이 총 인구와 롤 인구는 많지 않아도 굉장한 선진국이고, 한때 12 롤드컵 우승과 15 롤드컵 2팀 8강(일명 3부리그)을 달성했던 과거의 메이저 지역인데다 언어, 지리 측면에서도 중화권과 인프라를 일부 공유하고 한국 서버 접근성도 좋기 때문에 이러한 전성기의 팀게임적인 경험치가 생각보다 잘 보존되어 VCS와 함께 준메이저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예 S급인 도고가 1년 만에 바로 LPL에 진출하자 인상 깊은 뉴페이스가 누가 더 있나 고민이 될 정도로 유망주 수급이 좋지 않다. 다소 정체한다는 TCL보다도 심하게 A급 유망주가 말라가고 있어서, 흥행 문제와 맞물려 타 지역의 팀게임 발전이 이루어지면 마이너 내에서도 지위가 상당히 위태로워질 수도 있는 리그.

실제로 2022 롤드컵에서 부정할 수 없는 대추락을 맛보았으며, 베트남, 브라질의 발전과 롤 게임 자체의 성장 정체로 인한 나머지 마이너 지역 롤의 발전정체로 인해 TCL, LCL 등 더 상태가 나쁜 마이너 지역의 흡수통합론과 태평양 연안 통합리그설 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유망주가 말라가는 PCS의 미래도 완전한 마이너 추락이나 LPL로의 완전흡수 가능성 등으로 매우 비관적인 편이다.

결국 2023 롤드컵에서 그룹 스테이지가 스위스 스테이지로 개편됨과 동시에 VCS와 함께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 시드권이 박탈되었다.

2023 롤드컵에서 1시드 PSG와 2시드 CFO 모두 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결국 1시드2시드가 모두 3전제에서 서양 메이저 팀을 꺾어낸 VCS에 밀려 확실하게 비메이저(마이너, 구 준메이저) 최강 리그의 자리를 VCS에 빼앗겼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미 2017, 2018 롤드컵에서 우위라 보기 힘든 성적을 낸 적도 있고 2022 롤드컵에서도 1시드의 동률[9]에 2시드가 확실히 밀리는 성적을 내는 등 베트남 리그에 밀려나는 시나리오는 시간 문제라는 예상이 대세를 이룬지 오래지만, 하필 2023 MSI에서 GAM의 심각한 부진으로 혹시 반전이 있을까 싶었던 2023 시즌 롤드컵에서 그야말로 확인사살을 당하고야 말았다.

5. 역사[편집]



6. 여담[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20:25:25에 나무위키 Pacific Championship Serie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세아니아는 LCO의 상위권 팀만 출전한다.[2] 대만 타이베이에 위치[3] 2012년에 Taipei Assassins(현 Taipei J Team) 우승.[4] 롤팀을 운영하고 있긴 했지만 LMS의 2부 리그인 ECS에서만 팀이 있는, 말 그대로 구색만 갖춘 상태였다. 마치가 LMS에서 철수한 뒤인 19 시즌에는 대부분의 LMS팀들이 ECS에 2팀을 출범한 상태였기 때문이다.[5] 이는 당시 승강전에 갔던 팀들의 지역이 각각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지역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6] 2020 스프링 한정으로 패자조 2, 3라운드도 3전 2선승제였다.[7] PSG 3번(20 스프링, 21 서머, 22 스프링), MCX 1번(20 서머), BYG 1번(21 스프링). 그리고 BYG를 제외하면 모두 우승을 기록했다.[8] 2020시즌에는 PSG와 MCX, 2021시즌에는 PSG와 BYG이 두 시즌 연속으로 준결승 승자전과 결승전에서 맞붙었다.[9] 그마저도 간신히 북미 팀에게 한 세트를 따낸 CFO의 승리와 죽음의 조에서 중국 2시드 TES의 탈락이라는 핵폭탄을 쏘아올린 GAM의 승리는 무게감이 달랐다.[10] 1주차(12경기) : 2월 29일~3월 1일 / 2주차(18경기):3월 6일~8일 / 3주차(18경기) : 3월 13일~15일 / 4주차(18경기) : 3월 20일~22일 / 5주차(18경기) : 3월 27일~29일 / 6주차(6경기) : 4월 4일[11] 그러나 해당 인수는 인수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얼마 안가 무산되었다.[12] 다만 Taipei J Team은 스토브리그 기간에 미드로 미션을 영입했다는 소식이 이미 나와있어 말 그대로 루머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13] 또한 Liyab Esports가 시드권을 매각하면서 League of Legends SEA Tour 출신 팀들은 한 팀도 남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보여주듯 기존 4팀이었던 동남아시아 팀들이 2팀으로 줄었다. 지금까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팀이 대만, 홍콩 지역의 6팀과 함께 PCS의 한 자리를 차지했는데 2022년을 앞두고 태국, 필리핀 팀이 제외되면서 해당 지역, 특히 필리핀 팬들이 상당히 반발함과 동시에 큰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다.[14] 2021 LoL KeSPA Cup ULSAN에 참가한 HungKuang Falcons가 창설한 팀이다.

관련 문서